지난 12월 13일부터 22일까지 일본에서 진행된 ‘대학생 신조선통신사’는 단순한 탐방의 의미를 넘어, 한일 양국의 평화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소중한 여정이었다. 본 여정에서 한국과 일본 사이에 조선통신사라는 평화로운 교류의 역사가 있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으며, 이것이 양국의 역사를 이어주는 접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선통신사를 통해 이뤄진 조선인과 일본인의 문화 교류를 신조선통신사로 현재에 재현함으로써, 앞으로 한일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생 신조선통신사는 단순히 과거 조선통신사를 기억하거나 재현하는 것을 넘어, 미래의 한일관계에 있어 새로운 대안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9박 10일간의 여정에서 느낀 조선통신사의 의미는 단순히 지나간 과거에 국한되지 않았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7년간의 전쟁을 끝내고 재개된 조선통신사는 조선과 일본 사이에 200년간 전례 없는 평화의 시대를 열었으며, 이는 현재의 양국이 학술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했다. 2016년 1월 한국과 일본은 공동으로 조선통신사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공동연구 및 학술포럼을 개최해왔다. 이처럼 조선통신사는 학문적으로 한일 양국의 협력의 장을 열어줌으로써 한일 양국 역사의 접점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조선통신사가 비단 과거뿐만이 아닌, 현재까지도 한일 관계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지점이다.
또한 조선통신사가 정치적 교류임과 동시에 문화적 교류였다는 점에서, 신조선통신사는 과거의 역사를 현재에 재현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실제로 여정중 방문한 많은 사적들에는 조선통신사 일행과 일본 문인들의 교류에 관한 미담이 전해지고 있었고, 그와 관련된 서화들이 보관되어 있었다. 학문적 영역과 예술적 영역에서 양국이 주고받은 영향력은 평화롭고 우호적이었으며, 긴 시간이 지났음에도 잘 보존되어있는 서화들은 현재 우리에게 과거의 평화로운 문화적 교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문화적 교류는 조선인과 일본인들 간의 우호와 친근감을 의미했고, 양국은 이를 통해 200년간의 평화를 이어나갈 수 있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