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학생 신조선통신사

탐방지 소개

 

07-미미즈카.png

 

  교토(京都)시 히가시야마(東山) 구에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이 조선인의 귀를 베어와 묻은 귀무덤이 있다. 귀무덤은 석축을 쌓은 위에 우리나라의 무덤 모양을 한 봉분이 있고, 봉분의 꼭대기에 5층 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귀무덤은 인근에 있는 호코지(方廣寺)의 돌 축대와 함께 교토시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귀뿐 아니라 코를 묻었다고 하여 코무덤(鼻塚)이라고도 한다.

  일본은 1592년에 20만 명, 1597년에 14만 명의 군사를 동원하여 조선을 침략했다. 전쟁을 지휘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전쟁터에서의 공적을 평가하기 위해 조선인의 머리를 베어오게 했다. 그러나 머리는 부피가 너무 컸기 때문에 2차 침략 때는 머리 대신에 귀나 코를 베어오게 했다. 일본군은 전쟁터에서 베어낸 귀와 코를 항아리에 담아 일본으로 보냈고, 도요토미는 이 항아리를 가지고 오사카(大阪)와 교토를 돌면서 사람들에게 보인 다음 교토 다이부쓰지(大佛寺) 서쪽의 현재 자리에 묻도록 했다. 귀무덤에는 적어도 10만 명 이상의 귀와 코가 묻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  1625년에 다이부쓰지를 방문한 강홍중(姜弘重)은 그 앞에 언덕과 같은 봉분과 석탑이 있는 것을 보았는데, 주변에 있던 사람에게 물어 이것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그 아들인 히데요리(豊臣秀賴)가 조성한 것임을 알았다. 강홍중은 이곳에 조선 사람의 귀와 코를 묻었다, ‘진주성이 함락된 후 그 수급(首級)을 묻었다라는 말을 듣고는 원통하고 분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고 했다. 1643년에는 정사 윤순지(尹順之)와 종사관 신유(申濡)가 도쿄에서 쇼군을 만난 다음 교토에 도착하는 길에 다이부쓰지를 관광했다. 그러나 부사였던 조경(趙絅)은 다이부쓰지에 들르지 않고 곧장 숙소로 가버렸다. 이때까지 다이부쓰지는 통신사가 방문하는 관광지 중 하나였다.

  다이부쓰지에서 통신사를 위한 연회가 열린 적이 있었다. 1711년에 도쿠가와 막부는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건의를 받아들여 통신사에 대한 접대를 간소히 하는 대신 돌아가는 길에 다이부쓰지에서 연회를 베풀어주도록 했다. 귀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서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사실은 조선의 사신들에게 인근에 있는 귀무범의 존재를 상기시키면서 은근히 위협을 가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1719년 통신사가 교토를 방문했을 때 쓰시마 섬(對馬島)의 도주(島主)는 막부의 명령이라며 다이부쓰지 연회에 참석할 것을 요청했다. 정사 홍치중(洪致中)은 이 사찰이 조선의 원수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원당(願堂·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던 법당)이므로 참석할 수 없다고 거절했다. 원수가 지은 사찰에서는 술을 마실 수 없으니, 사찰의 문 밖에 장막을 치거나 아니면 민가에서 마시겠다는 것이었다. 이튿날 교토의 책임자가 『일본연대기』란 책을 내보이며 이 절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원당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다이부쓰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이 된 해에 중건된 절인데, 그때는 도요토미의 자손이 섬멸되어 남은 종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물론 위조된 책이었다. 이후 홍치중은 부사 황선(黃璿), 제술관 신유한(申維翰)과 함께 다이부쓰지의 연회에 참석했다. 그렇지만 종사관 이명언(李明彦)은 끝까지 참석하기를 거부했다. 조선으로 귀국한 후 연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조정의 지탄을 받았는데, 이로 인해 다이부쓰지의 연회는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되었다.

 

제목
통신사의 숙소, 아카마 신궁 (赤間神宮) file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은 청일강화기념관(淸日講和記念館) file
원폭 투하 현장에 조성된 히로시마 평화공원(廣島平和公園) file
일본 유일 조선통신사 자료관, 고치소이치방칸(御馳走一番館) file
세토 내해의 절경, 후쿠젠지(福禪寺) file
통신사의 묘비가 있는 절, 치쿠린지(竹林寺) file
통한의 역사, 귀무덤- 미미즈카(耳塚) file
조선이 건국된 해에 만들어진 절, 쇼코쿠지 지쇼인(相國寺 慈照院) file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흥망성쇠를 같이한 오사카성(大阪城) file
통신사에 내어준 쇼군의 길, 조선인가도(朝鮮人街道) file
통신사를 위해 육류 반입 문을 따로 낸 절, 소안지(宗安寺) file
일본의 외교관이자 유학자,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를 기리는 기념관 file
일본식 정원이 아름다운 호타이지(宝泰寺) file
통신사 왕래를 시작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 슨푸성(駿府城) file
태평양과 후지산을 품은 절경, 세이켄지(淸見寺) file
후지산 인근의 험준하고 아름다운 에도 최종관문, 하코네 세키쇼(箱根關所) file
통신사의 최종 목적지, 에도성(江戶城) file
국경의 섬, 쓰시마(對馬)
통신사의 선박이 정박하던 곳, 오후나에(お船江)
조선통신사 관련 자료를 엿볼 수 있는 조선통신사 역사관
비와호의 입구, 오미하치만(近江八幡堀) 수로
통신사가 건넌 배다리 자료가 있는 비사이 역사박물관
에도의 검문소, 하코네 세키쇼
통신사가 머물렀던 아사쿠사(센소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