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학생 신조선통신사

탐방지 소개

국경의 섬, 쓰시마(對馬)

chosunculture 2025.07.18 15:43 조회 수 : 5

 

 

  오랜 세월 동안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온 섬 쓰시마. 쓰시마는 세종 때 일본에서 조선으로 가는 일본인과 일본 선박의 도항 허가증인 문인(文引) 발급권을 독점했다. 이후 조일 관계에서 그 역할을 강화해 나가고 조일 무역의 수혜도 입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할 조짐이 있자 이를 막기 위한 노력을 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주 소 요시토시(宗義智)가 그의 장인인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선봉장이 되는 등 쓰시마는 일본과 조선 사이에서 다양하게 등장했다.

  임진왜란이 끝나자 쓰시마는 일본 막부의 지시에 따라 조일 교류를 회복하는 데 노력했다. 조선 후기에는 대조선 외교와 무역을 총괄하는 번(藩)으로 인정받아, 부산 왜관에 오는 관료, 외교관, 상인, 군인 등 모든 일본인은 쓰시마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통신사가 일본에 갈 때 필요한 절차, 의식 등 사전 준비 또한 쓰시마와의 협의를 통해 진행되었다.

  통신사가 부산포에서 출발해 처음으로 도착하는 일본 땅이 쓰시마였다. 통신사가 조선으로 돌아올 때 마지막 점검을 하는 곳 역시 쓰시마였다. 통신사 선박 6척 뿐 아니라 10척이 넘는 호위 선박도 함께 운항했기 때문에, 쓰시마는 대규모 선단이 정박하기 위한 선창 수리 등 통신사 맞이용 준비를 대대적으로 했다.

  특히 1811년 통신사의 최종 목적지는 에도(江戸)가 아니라 쓰시마의 후츄(府中)인 역지통신사(易地通信使)였기 때문에 쓰시마의 준비는 남달랐다. 사절단의 규모가 축소되어 통신사 선박은 4척이었지만, 에도에서도 조선 국왕의 국서를 받아야 하는 고위 관료들이 쓰시마로 와야 했기 때문이었다. 1811년 통신사는 1811년 윤(閏) 3월 13일 쓰시마 북단에 도착한 후, 7월 2일 부산 영도 앞바다로 돌아왔다. 그러므로 쓰시마는 수개월 동안 통신사가 머물 숙소를 정비해야 했다. 조선에서는 역지통신을 주도한 역관들이 1805년 죽음에 이르는 사건이 일어나는 등 역지통신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쓰시마의 사정은 달랐다. 1805년 12월 쓰시마 코쿠분지(國分寺)에 통신사가 묵을 객관을 만들고, 주변 도로를 확장하기 위해 토지를 매수한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통신사에게 제공할 음식, 응접 인력 준비 등은 막부의 재정을 지원받아 준비했다.

제목
통신사의 숙소, 아카마 신궁 (赤間神宮) file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은 청일강화기념관(淸日講和記念館) file
원폭 투하 현장에 조성된 히로시마 평화공원(廣島平和公園) file
일본 유일 조선통신사 자료관, 고치소이치방칸(御馳走一番館) file
세토 내해의 절경, 후쿠젠지(福禪寺) file
통신사의 묘비가 있는 절, 치쿠린지(竹林寺) file
통한의 역사, 귀무덤- 미미즈카(耳塚) file
조선이 건국된 해에 만들어진 절, 쇼코쿠지 지쇼인(相國寺 慈照院) file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흥망성쇠를 같이한 오사카성(大阪城) file
통신사에 내어준 쇼군의 길, 조선인가도(朝鮮人街道) file
통신사를 위해 육류 반입 문을 따로 낸 절, 소안지(宗安寺) file
일본의 외교관이자 유학자,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를 기리는 기념관 file
일본식 정원이 아름다운 호타이지(宝泰寺) file
통신사 왕래를 시작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 슨푸성(駿府城) file
태평양과 후지산을 품은 절경, 세이켄지(淸見寺) file
후지산 인근의 험준하고 아름다운 에도 최종관문, 하코네 세키쇼(箱根關所) file
통신사의 최종 목적지, 에도성(江戶城) file
국경의 섬, 쓰시마(對馬)
통신사의 선박이 정박하던 곳, 오후나에(お船江)
조선통신사 관련 자료를 엿볼 수 있는 조선통신사 역사관
비와호의 입구, 오미하치만(近江八幡堀) 수로
통신사가 건넌 배다리 자료가 있는 비사이 역사박물관
에도의 검문소, 하코네 세키쇼
통신사가 머물렀던 아사쿠사(센소지)
위로